본문 바로가기

[1] AR 기반 캠퍼스 탐색 시스템 개발 및 UI 최적화와 사용성 접근 개선

  • 문시아
  • 인천대학교
  • 작품구분일반형
  • 공개여부비공개(영상/슬라이드/첨부파일)
  • 카테고리웹/앱, 교육/연구
  • 등록일2025-06-18
  • 팀원(공동개발자)문시아, 이지우, 전진헌, 홍성현
  • 출품 경진대회2025학년도 1학기 산학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

상세설명

1. 수행배경 

  • 최근 대학교 홍보 및 신입생, 외부인의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해 VR/AR 기반 캠퍼스 탐색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지만 인천대학교에 대한 기존의 2D 지도나 캠퍼스맵은 위치 정보는 제공하지만, 실제 도보 경로 기준으로는 정보 미제공이라는 한계 존재
  • 본 프로젝트는 실제 캠퍼스를 직접 360도 촬영하여, 사용자 시점에서 이동 가능한 AR 기반 탐색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
    기존의 정적인 위치 확인 기능을 넘어, 몰입형 시야 탐색과 직관적인 이동 흐름을 경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

2. 수행기간

  • 2025년 3월 둘째 주부터 5월 30일까지 총 11주에 걸쳐 진행

  • 1~5주차 : 아이디어 기획 및 조사, 촬영 장비 선정, 캠퍼스맵 및 기존 지도앱에 대한 사용성 조사

  • 5~10주차 : 2주 간격으로 주말마다 Insta360 Pro 2 장비를 이용한 캠퍼스 촬영을 진행 및  매주마다 촬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React와 Three.js를 활용해 로드뷰 시스템을 개발 진행

  • 9~11주차 :  중간 프로토타입 평가 및 최종 사용성 평가를 통해 디자인 고도화 및 기능 안정성 확보까지 순차적으로 수행

3. 개발작품 설명

  • 웹 기반의 AR 캠퍼스 탐색 시스템으로, 실제 360도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미니맵, 화살표 클릭, 사진 기반 탐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캠퍼스를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
  • 주요 기능
    • 미니맵을 통한 위치 기반 이동
    • 360도 로드뷰 상 화살표를 클릭하여 경로 이동
    • 외부 건물 태그 클릭 시 해당 위치로 전환 또는 정보 확인
    • 실내외 연결(이룸관·8호관) 기능 구현
    • 화살표 호버 시 거리(예: 44m) 표시로 사용자 예측성 강화
  • 기술 스택
    • React.js, HTML/CSS/JS, Three.js, JSON 기반 메타데이터 관리

 

4. 활용방안

  • 해당 시스템은 신입생, 외부 방문객 등 캠퍼스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실질적인 탐색 편의를 제공
  • 입학 안내, 학과 홍보, 캠퍼스 투어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계 활용 가능
  • 또한 기능을 확장해 다국어 태그, 모바일 대응, 건물 내부 상세 안내 등을 추가 후 스마트 캠퍼스 인프라의 일환으로 발전 가능성 존재

소개 영상

비공개 자료입니다.

소개 슬라이드

비공개 자료입니다.

기타자료

비공개 자료입니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