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공개 자료입니다.
[4] 탄소배출권 가격 추이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항공유 경제성 평가 모형 개발
- 박재용
- 인천대학교
- 작품구분일반형
- 공개여부비공개(영상/슬라이드/첨부파일)
- 카테고리경제/금융
- 등록일2025-06-19
- 팀원(공동개발자)박재용,양서린,정수환,오상호 _ 총4명
- 출품 경진대회2025학년도 1학기 산학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
- 0
- 0
- 201
상세설명
1. 수행배경
-
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추세에 따라, 항공산업의 탄소 감축 필요성이 존재
-
항공 분야는 기술적 제약과 긴 인증 과정 등으로 인해 탈탄소화에 한계 존재
-
SAF(Sustainable Aviation Fuel)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대체 항공유로 미래 항공 분야의 핵심 탄소 감축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음
-
그러나 높은 단가로 인해 사용 유인이 낮아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됨
-
따라서 본 연구는 SAF 도입 정책 및 보조금 정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통해 합리적 정책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
2. 수행기간
- 2025.03.04 ~ 2025.06.04
- 1~3주차 : 문제 정의, 문헌 조사, 목적 설정
- 4~6주차 : 모델 수립,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
- 7~10주차 : 시뮬레이션 수행
- 11~14주차 : 효과 분석 및 보고서 작성
3. 개발작품 설명
-
분석기간: ICAO(국제민간항공기구)의 목표 반영, 2050년까지로 설정
-
파라미터
-
SAF 혼합비율 : 선형적으로 50%까지 증가
-
탄소크레딧 가격 : 로그 회귀 기반 시나리오(시장 기반 vs 정책 목표)
-
항공유·SAF 가격 및 탄소배출량 : 연평균 성장률 및 가중평균 적용
-
연료 사용량 : 인천공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
-
-
모형
-
SAF 도입에 따른 추가 비용(연료비 상승 – 탄소비용 절감) 모델링
-
SAF의 단위 탄소비용과 사회적 탄소비용(SCC) 비교
-
비용-편익(B/C Ratio) 분석을 통해 정책의 자생 가능성과 시기 평가
-
-
결과
-
일정 시점 이후 SAF는 보조금 없이도 경제성 확보 가능
-
초기에는 보조금 지원 필요, 이후에는 의무혼합제/탄소세 전환을 통한 시장 자생 유도가 합리적
-
보조율 약 70% 수준이 효율적 전환을 위한 정책 설계 기준으로 제시
-
4. 활용방안
-
정부 정책 설계
-
초기: 보조금 중심 유인 정책 설계 필요
-
중기: 의무혼합제나 탄소세 기반의 시장 메커니즘으로 전환
-
장기: 보조금 없는 자생적 SAF 시장 조성
-
-
연구적 기여
-
SAF 도입의 당위성을 넘어서 구체적 정책 도입 시기 및 방식 제시
-
기술 다양성, 민감도 분석, 시장 수요 반응 등 후속 연구 방향 제시
-
소개 영상
소개 슬라이드
비공개 자료입니다.
기타자료
비공개 자료입니다.